저번 글에서는 의료보험 피부양자 조건 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의료보험 피부양자 등록 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라인에서 의료보험 피부양자 등록 하는 방법
A.4대보험 정보 연계센터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B.우측상단의 개인로그인을 누르고 , 간편인증 등을 통해 로그인 합니다.
네이버나 카카오톡 간편이증이 가장 편한 방법 입니다.
C.가운데 메뉴에서 피부양자 업무 > 자격취득 클릭 합니다.

D.개인정보 수집 및 고유식별정보 수집에 동의 ✔️ 합니다.
E.직장인 가입자의 경우 자신의 정보는 모두 미리 입력되어 있습니다.
피부양자 자격취득 신고 란의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데, 주민번호 와 성명 가입자와의 관계는 쉽게 입력하실 수 있을테고, 취득연월일과 취득부호 가 헷갈리실 텐데요.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취득연월일
취득연월일은 피부양자가 조건을 충족하게 된 날짜를 입력하게 되는데요.
보통 지역가입자인 부모님이 피부양자로 등록시키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아래예를 보시죠.
- 아버지가 정년퇴직후, 직장가입자 자격이 상실되어 지역가입자로 전환
- 몇달뒤 아버지가 소득이 없다는게 확인되, 아들의 직장보험 피부양자 요건이 충족
- 취득연월일 : 아버지가 마지막으로 소득을 올린 날 이후 , 피부양자 요건을 (소득 및 재산 ) 충족하게 된 날
취득부호
취득부호도 상당히 헷갈리실 텐데, 가장 많이 쓰는 주요 취득부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05 : 배우자가 실직 후 피부양자로 등록
06 : 부모 밑 피부양자에서 결혼 후 배우자의 피부양자로 전환
07: 지역가입자 가족을 피부양자로 전환
F.마지막으로 가족관계증명서를 첨부하여야 합니다.
가족관계증명서는 피주양자의 이름으로 발급되어야 합니다. (부모님을 자식의 직장 피부양자로 등록하려면 부모님 성함으로된 가족관계증명서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직장가입자와 거주지가 다를 경우 반드시 첨부해야 합니다.
처리기간은 2~3일이 소요됩니다.
글을 마치며
오늘은 의료보험 피부양자 등록 방법에 대해 실제 사이트에서 신청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신청 전 피부양자의 소득 재산 사업자 등록 여부 등을 미리 확인하시고, 가족관계서를 미리 준비하신다면, 빠른시일 내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