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 오랜세월 안전자산으로 자리잡고 있는데요. 하지만, 실제 투자하려고 하면 실물이 좋을까? KRX 금현물이 좋을까? 금통장 등이 나을까? 같은 고민이 생깁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투자자들이 금에 투자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정리 해 보았습니다.

실물 금 (금괴, 골드바)
장점
직접보유 : 손에 쥘 수 있어 심리적 안정감이 큽니다.
위기 대응시 최고 : 은행에서 인출불가 할정도의 극단적 자산시장이 붕괴시나 통화 불안정시에도 가치 유지가 됩니다.
단점
부가세 10% + 매매 수수료가 1~5% 가붙고, 부가세와 수수료 외에도 살때 가격과 팔때 가격도 기본적으로 1~3% 정도 차이가 있어, 단기 투자는 사실상 불가능 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관이 어렵고, 도난의 위험이 존재 합니다. 현물 금을 많이 가지고 계시다면, 금고를 구매하실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KRX 금현물
KRX 금현물은 주식거래 하듯이 HTS 등을 통해 실시간 금을 실시간으로 매매 하도록 만들어 놓은 시스템으로 “사실상 모든 방법 중 가장 추천하는 방법” 입니다.
장점
세제혜택 : 부가세 및 양도세 면제되고, 매매차익에 있어 세금이 없습니다.
공신력 : 한국거래소가 운영하기 때문에, 나라에서 보증하는 시스템 입니다.
편리한 거래 : 주식 계좌에서 HTS 등으로 실시간 매매가 가능합니다.
단점
거래 시간이 주식시장과 동일하여, 아침이른 시간이나, 저녁이후로는 거래가 불가능합니다.
증권사 수수료가 (0.2~0.5%) 정도 있습니다.
국내 금 ETF
TIGER 골드 선물(H) : 금 선물 가격 추종 상품으로 환헤지를 적용합니다.
ACE KRX 금현물, TIGER KRX 금현물 : 한국 KRX 금현물 과 연계된 상품입니다.
장점
원화거래가 가능하고, 주식처럼 쉽게 사고 팔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환헤지 상품등도 있어 환율리스크 제거가 가능합니다.
IRP (퇴직연금계좌) 등에는 KRX 금현물 거래가 불가능한데, 이런 KRX 금현물 ETF 등을 통해 비슷한 효과 및 수익률을 IRP 계좌에서도 거둘 수 있습니다.
단점
운용규모가 작은편이라, 유동성이 제한됩니다.
선물형은 장기 보유시 롤오버 비용 부담 (선물형 금 ETF는 단기 추종은 잘하지만, 만기가 있어, 계속 계약을 갈아타야 하고, 이때비용 (롤오버) 가 쌓여 장기투자에 불리합니다. )
은행 금 통장
은행 금 통장이란? 원화로 입금하여, 그 금에 해당하는 g 단위로 금을 통장에 적립하는 상품으로 금가격에 연동되 가치가 변동하며, 필요하면 현금화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장점
소액투자가능 : 1만원 단위부터 적립 가능합니다.
편리성 : 은행 어플이나 창구에서 바로 계좌를 만들어 매매할 수 있습니다.
단점
매매차익에 “15.4% 이자소득세 과세” 됩니다. 이게 KRX 금현물과 차이나는 가장 큰 단점이라 하겠습니다.
매매시 수수료 약 1% 부과됩니다.
글을마치며 : 결론은 KRX 금현물
세제 및 효율성 중시 : KRX 금현물
간편성 중시 : KRX 금현물, 은행 금통장, 국내 ETF
위기 대비 및 안정성 극대화 : 실물 금 , KRX 금현물 (KRX 금현물도 실물금으로 인출 가능 단 부가세 10% 부과)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