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 에서는 PER 을 통해서 S&P 500 이 고평가 구간이지 알아봤다면, 이번 글 에서는 PER 의 단점을 보완하는 지표인 Shiller PE (10년 조정 PER ) 를 통해 현재 S&P 500 이 거품구간에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Shiller P/E ratio 란 ?
Shiller P/E ratio 란 미국 예일대 경제학자 로버트 실러 (Robert Shiller) 가 만든 지표로, 여기서 P/E ratio 는 PER 을 말하기 때문에, 간단히 말해 Shiller 가 만든 PER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며, CAPE, 10 year average PE 등 으로도 불리웁니다.
계산법은 : PER 이 현재 지수를 주당수이익으로 나누었다면, (PER= 주가 / 주당순이익 ) Shiller P/E ratio 에서는 최근 10년간 평균 실질 주당 순이익 으로 나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Shiller P/E ratio = 주가 / 최근 10년간 평균 실질 주당 순이익 )
이렇게 하면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10년 평균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기적 경기 호황 및 불황에 영향을 덜 받고, 장기적인 시장 벨류에이션을 보여 줍니다. 즉 Shiller P/E ratio 는 현재 주가가 장기적으로 과거대비 비싼지 싼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왜 S&P 500 Shiller P/E ratio 가 중요한가?
PER 은 최근 1년 실적만 보기때문에 기업들의 실적이 나쁜 불황기에는 급등하는 경향이 있고, 호황기에는 급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Shiller P/E ratio 는 10년 평균을 쓰므로 장기적으로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 를 보여줍니다. 로버트 실러의 연구에 따르면 Shiller P/E ratio 가 높을수록 향후 10년 해당 주가의 수익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S&P 500 Shiller P/E ratio 보는곳
아래 바로가기를 통해 S&P 500 Shiller P/E ratio 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Shiller P/E ratio 와 역사적 평균
장기평균 : 16~17 배
저평가 시기: 1980년 초 : 10배 이하
최고평가 시기 : 2000년 초 : 닷컴버블 44배 이상
현재 (25년9월) : 약 38~39배
Shiller P/E ratio는 닷컴버블을 제외한 역사상 두번째로 높은시기로 상당히 고평가 구간에 들어와 있습니다.

현재 S&P 500 Shiller P/E ratio 가 의미하는 바는?
평균 16~17배 vs 현재 39배 : 명백한 고점 신호
고금리 4%대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Shiller PE ratio 는 시장이 AI 및 테크주에 성장을 지나치게 강하게 선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합니다. 만약 AI 나 테크주가 기대한 만큼 실적(이익) 이 따라오지 못하다면 주가하락의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지난시간에는 PER 로 시장의 고평가 인지를 살펴보았고, 이번에는 Shiller P/E ratio를 통해 장기적 관점에서도 현재 S&P 500 시장이 고평가 인지를 알아보았습니다. 두가지 모두 공통적으로 현재 지수가 평균대비 2배 정도 높은점을 보았을때, 매우 현 S&P 500 지수가 상당히 높은 수준 에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