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오르고, 미국 주식도 정점에 있다고 느껴지는 요즘 사실상 안전자산에 많은 자금이 몰리고 있습니다. 금 과 함께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손꼽히는 자산이 미국국채 입니다. 오늘은 이 미국국채 총정리 해 보았습니다.

미국 국채란
미국국채는 미국 정부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세계에서 가장 신용도가 높은 자산 중 하나로 평가 됩니다.
🍀쉽게 말해 , 미국 정부에게 돈을 빌려주고, 일정 기간 후에 원금 + 이자를 받는 것 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미국 국채 종류 및 특징
| 구분 | 만기 | 투자방식 | 대표상품들 | 특징 |
|---|---|---|---|---|
| 단기채(T-bill) | 3개월~1년 | 국내증권사에서 직접 매수 | 토스, 한국투자증권 등 | 확정 수익형, 환율만 주의 |
| 중기채(T-Note) | 2년~10년 | ETF 또는 증권사 직접매수 | TIGER 미국채 10년 선물 토스 등에서 직접 매수 TLT | 금리인하기에 시세 차익 |
| 장기채 (T-Bond) | 20~30년 | ETF 중심 | ZROZ,TLT KODEX 미국장기국채 | 금리변동민감, 장기보유용 |
| 물가연동채(TIPS) | 5~30년 | ETF 또는 증권사에서 매수 | TIP,SCHP,KODEX 미국 물가 연동체 | 인플레 방어용 |
투자 목적별 선택 가이드
| 투자목적 | 국채 종류 | 이유 |
|---|---|---|
| 안정적 이자 수익 확보 | 단기채 | 금리 피크 구간에서 확정 수익 |
| 금리 인하기 시세차익 | 중장기채 ETF | 금리인하시 채권가격 상승 |
| 물가 불안 대비 | TIPS ETF | 인플레이션 연동 수익 |
| 환율방어 | 환헤지형 ETF | 원화강세가 예상될때, 환차손 방지 |
미국채 투자 주의점
환율 리스크
한국 투자자느 달러자산에 투자하기 때문에, 원화강세가 예상되거나, 현재 환율이 너무 높을때는 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환율전망이 불확실 하다면, 환헤지 ETF 를 고려해야 합니다.
금리 리스크
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은 하락합니다. 특히 장기채일수록 금리변화에 민감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다만, 단기채 (6개월~1년) 은 변동성이 거의 없습니다.
유동성
ETF 가 아닌 단기채 등을 직접 매수 했을 때는 중간에 매도 하면 손해가 나기 때문에, 만기 시 까지는 보유해야 합니다. (단 만기보유하면 단기체는 확정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ETF 는 언제든 매도가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우수합니다.
세금
채권형 ETF 는 차익의 15.4% 배당소득세로 지불해야 합니다. ( ISA 계좌 이용 추천 )
토스 등 국내 증권사를 통한 직접투자 : 이자 소득세 약 15.4%
글을 마치며
미국 국채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 중 하나이지만, 수익률은 금리와 환율의 흐름에 따라 달라집니다. 금리 인상 최고조 에는 단기채를 금리가 인하가 예상 된다면, 중장기채 ETF 를 구매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투자의 좋은 방법이라 하겠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