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9월말 한미 무역갈등이 심해지며, 미국 쪽의 압박이 심해지자, 원화가 엄청나게 약세를 보이고 있죠. 그 일례로 이 글을 쓰고 있는 9월29일 달러 인덱스가 97선까지 하락 했지만, 원 달러 환율은 1400원에서 왔다 갔다 하며, 원화환율이 굉장히 치솟고 있지요. 오늘은 이런 불안한 내외적 현 사항에서 2025년 4분기 투자전략 을 생각해보려 합니다.

2025년 4분기 투자 핵심 포인트
| 구분 | 시장상황 | 투자방향 |
|---|---|---|
| 달러 | 약세 (달러인덱스 97) | 원화가 워낙약세이므로 달러 베이스 자산에 비중 확대 |
| 원화 | 달러보다 더욱 약세 | 원화자산 비중 축소 |
| 금리 | 연준 금리 인하 시작 | 채권시장 상승 압력 |
| 물가 (PCE) | 2.7% | 아직 관세영향 반영 안됨 |
| 주식시장 | S&P500 PER 31 ,CAPE 38.5 (상당한 고평가) | 방어적 포트폴리오 필요 |
| 원자재 | WTI 65 달러, 구리 4.8 달러 | 경기둔화우려 반영 |
| 금 | 3751 $ (역사상 최고점) | 인플레+지정학 리스크 |
2025년 4분기 투자전략
달러는 약세지만, 원화는 더 위험하다. 주식시장은 거품신호가 보이고, 원화가 워낙 약세이기 때문에, 현재 최대한 보수적인 투자형태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단기채 ( 4~12개월물)
토스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증권사에서 직접 매수 가능합니다.
연 이자 4~4.6% 수준
달러로 환전 후 단기채를 살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달러 예금 대체상품 이라고 불립니다.
금 ETF 나 KRX 금현물
원화약세 구간이기 때문에, 환차익 + 금값 상승을 동시에 취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금 역사상 최고 지점에 있기 때문에,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2025년 4분기 주의점 및 시장상황
달러약세 ≠ 원화강세
미국의 관세 및 무역압박이 한국 원화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수출의존도가 큰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S&P 500 PER 31 / CAPE 38.5 역사점 고점 영역
지금 들어가는 건 너무 위험할 수 있고, 오히려 비중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금 사상 최고가는 공포신호
안전자산 수요가 지금처럼 과도할 때는 오히려 시장이 리스크가 있다는 걸 암시 할 수도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달러가 약세임에도 원화가 더욱 약세라면, 달러로 된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단기채 비중을 늘리고, 대표적 안전자산이 금이 최고점에 와 있으므로, 금도 조금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