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투자하는 상품 중 하나가 S&P 500 ETF 일 것 입니다. 많은 분들이 S&P 500에 투자하고 계시지만 정확히 하시는 분은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S&P 500의 의미, 지수구조, 구성종목,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S&P 500 이란?
S&P 500 은 미국의 신용평가사인 Standard & Poors (S&P) 가 산출하는 미국 대표 주식시장 지수 입니다. 1957년 처음 발표된이후, 현재는 미국 증시 전체 시가총액의 약 80%를 대표할 정도로 중요한 지표지요.
S&P 500 에 투자한다? 이는 미국 주식시장 전체에 투자한다는 의미와 비슷 합니다. 이런 성격 때문에, 워렌 버핏이 아내에게 자신이 죽은 뒤 유산을 S&P 500 인텍스 펀드에 90%를 투자하라고 말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나머지 10%는 미국 단기국채 입니다.)
S&P 500 지수의 구성
S&P 500 은 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사용하는데요. 좀더 쉽게 설명하면 기업의 시가총액이 클수록 지수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게 됩니다. 즉 애플 이나 엔비디아 처럼 시총이 큰 기업은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시총은 작은 기업은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지요.
S&P 500 의 기업 기준
S&P 500 에 편입된 기업은 단순히 상위 500 대 기업이 아니라, 아래 11개 섹터의 기업이 고루 담겨 있어, 미국 경제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대표하는 500개 기업이 들어가 있어, 미국 경제 전체의 평균 성장 추세를 반영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S&P500 기업 기준
S&P 500 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미국 본사 기업
시가총액이 180억 달러 이상일 것
유동성 및 거래량 기준 충족할 것
최근 4분기 연속 흑자 일것
주용 거래소 (NYSE, NASDAQ 등) 에 상장되 있을 것
S&P 500 11개 섹터 분류
- IT
- 헬스케어
- 금융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 소비재
- 필수소비재
- 산업재
- 에너지
- 소재
- 부동산
- 유틸리티
대표적인 S&P500 구성종목
구성종목은 우리가 흔히 들어본 아래와 같은 기업들로 되어 있습니다.
IT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메타
헬스케어: 존스앤 존스 , 화이자
금융 :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
소비재 : 월마트, 코카콜라, 맥도날드
에너지 : 엑손모빌
S&P 500 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방법
미국시장에 상장된 ETF
- SPY
- IVV
- VOO
한국시장에 상장된 ETF
- TIGER (미래에셋 증권)
- KODEX (삼성증권)
- ACE(한국투자증권)
S&P500 장단점
장점
미국 경제 전체에 골고루 분산 투자가 가능합니다.
장기적으로 높은 성장성과 안정성이 증명되어 있는 지수 입니다.
세계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높습니다.
단점
미국 외의 기업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형주 비중이 높아 성장률 편차가 존재합니다.
환율이 떨어지면 손해를 볼수 있는등 환율 리스크가 존재 합니다.
글을 마치며
저를 포함한 많은 분들이 S&P 500 에 투자는 하지만, 정확히는 모르고 그냥 투자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습니다. 이번기회를 통해 S&P 500 을 알아보고, 정확히 아는 상태에서 투자한다면, 좀더 현명한 투자가 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