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를 사용해도 반드시 친환경은 아니라는 얘기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건 전기를 화석연료 (석탄,석유,가스) 로 만들면 내가 구매한 전기차에서는 탄소가 나오지 않지만, 그 전기를 만드는데, 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아무 소용이 없다는 의미 입니다. 그럼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주요국 전력생산 구조 를 알아보겠습니다.

각 나라의 전력생산 사정
한국
한국은 원자력 비중이 꽤 높은 나라 입니다. 그리고 조사한 나라 중에 재생에너지 (수력,태양력,풍력,지열 등) 비율이 주요 개발도상국 보다도 낮을 정도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이부분은 상당히 힘써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미국은 가스가 많은 나라인 만큼 가스로 전기를 생산하는 비중이 가장 큰 나라입니다. (약 37%) 하지만, 재생에너지 비율도 약 23% 로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일본
일본은 예상외로 화석연료의 비중이 가장 큰 나라 입니다. (약 70%) 한국이 아까 재생에너지 비율이 가장 낮다고 했는데, 좀 모순이죠? 한국은 대신 원자력 비중이 커서 (원자력은 전력생산시 탄소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화석연료 비중이 약 59% 대 입니다.
중국
왠지 가장 많은 화석연료를 쓸 것 같은 중국은 의외로 재생에너지 비율이 30%로 한국보다 3배 이상 높습니다. 수력과 태양력이 재생에너지의 주를 이루며, 태양광은 전세계 1위 입니다.
전세계 전력생산 구조 한눈에 보기
| 국가 | 원자력 | 재생에너지 | 화석연료 | 저탄소 비중 (원전+재생) |
|---|---|---|---|---|
| 한국 | 31.7% | 9% | 59.3% | 40.7% |
| 미국 | 19% | 23% | 58% | 42% |
| 중국 | 6% | 30% | 64% | 36% |
| 일본 | 8% | 22% | 70% | 30% |
| 영국 | 14 % | 45% | 29% | 59% |
| 프랑스 | 67 % | 28% | 5% | 95% |
| 독일 | 0% | 62.7% | 37.3% | 62.7% |
| 러시아 | 20% | 17% | 63% | 37% |
| 브라질 | 2% | 87% | 11% | 89% |
| 인도 | 2% | 22% | 76% | 24% |
글을 마치며
위에서 보시는 것 처럼 전력 생산 구조를 비교해보면, 왠지 일본 같은 나라는 저 탄소로 전력 생산 할 것 같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거의 주요국 중 가장 낮은 30%에 불과한 저탄소 전력생산을 하고 있고 (아마도 원전사고 영향으로 원전을 많이 줄여서 그런 다는 생각이 듭니다.)
의외로 브라질 같은 경우는 개도국 임에도 풍부한 수자원 을 바탕으로 87%에 달하는 재생에너지 기반의 전력생산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중국도 의외로 전세계 1위의 태양광 발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주요 나라들의 전력생산 구조를 비교해 보니, 각 나라의 사정과 자원 등에 따라 전력생산 구조도 천차만별이고, 아직 높은 화석연료 의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도 분명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탈탄소를 이루기 위해 각국의 부단한 노력이 뒷받침 되야 할 것 같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