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폭우 와 폭염으로 많음분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모든 분들이 아시겠지만, 우리의 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이런 날씨의 변화가 생기고 있는데요.
오늘은 에너지원별 탄소 배출량을 알아보고 석탄, 가스, 석유 ,태양광, 원자력 등 에너지원별 탄소 배출량 을 비교해 앞으로 우리가 어떤 에너지원을 사용해야 앞으로 기후위기에 적절한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탄소배출량 단위 란?
보통 탄소배출량 단위는 1kWh 전기를 만들 때, 몇 g (그램) 의 탄소를 발생시키는지를 봅니다. gCO2/kWh 로 나타내죠.
자원별 탄소배출량
아래 자원별 탄소 배출량은 단순히 에너지로 전기를 만들 때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아닌 에너지의 전체의 모든 과정을 고려해 산출합니다. 즉 발전소 건설 연료 채굴시 드는 탄소배출량 까지 포함된 배출량이라는 거죠. (그래서 풍력 이나 수력도 조금이지만 탄소 배출량이 있습니다.)
| 자원 | 평균 탄소 배출량 | 비고 |
|---|---|---|
| 석탄 | 820~1000 | 화석연료 |
| 석유 | 650~900 | 화석연료 |
| 천연가스 | 450~500 | 화석연료 |
| 원자력 | 3~30 | 원자력 |
| 태양력 | 18~50 | 재생에너지 |
| 지열 | 6~45 | 재생에너지 |
| 풍력 | 3~12 | 재생에너지 |
| 수력 | 1~24 | 재생에너지 |
재생에너지라고 탄소배출량이 0 는 아니다.
풍력 및 수력 발전소를 만들때 배출량이 있기는 하지만 그외에는 거의 탄소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1~24 gCO2/kWh 정도로 탄소 배출량이 매우 낮습니다.
태양광도 패널 제조시 탄소 배출이 꽤 크지만 이 또한 운영시에는 거의 탄소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전반적으로 재생에너지는 운영시에는 거의 탄소를 배출하지 않지만, 발전소를 만들거나, 패널등을 만들 때 아직까지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원자력은 친환경적 일까?
원자력은 보시는 것 처럼 탄소를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방사능 위험과 원자력 발전이후 나오는 폐기물을 보관할 장소가 없는 등 또다른 문제가 있지요. 다만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현시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에너지 원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탄소발생의 주요원인은 역시 ‘화석연료’
위에 보시는 것처럼 석탄 , 가스, 석유등의 화석연료가 압도적으로 많은 탄소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로의 빠른 전환이 필요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다른 유럽의 선진국들에 비해서 전환속도가 매우 느린편 입니다.
글을 마치며
폭우 와 폭염이 계속되는 올 여름 더 이상 탄소배출은 우리 후대의 문제가 아닌 점차 우리의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문제입니다. 물론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국민 개개인에게 다소 어렵고, 불편한점이 많을 수 는 있지만, 우리 후손 과 더 나아가 내 자신을 위해 반드시 우리가 이루어야 할 사항임을 잊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