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를 할 때, 해당 자산별 위험도 를 스스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 또한 자산 포트폴리오 짜는데, 앞서 인터넷검색, 책, GPT 등을 종합해서 각 자산의 위험도를 평가해 보았습니다.
아래 자산의 위험도는 그냥 저의 의견일 뿐이며, 자산투자시 위험도는 스스로 판단하고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자산별 위험도 순위
1 : 거의 손실 위험이 없는 초저위험 (예: 원금보장 예금)
100 : 매우 불확실한 투자라고 할수 없는 “비상장 코인”
| 순위 | 자산 | 위험도 |
|---|---|---|
| 1 | 5천만원 이하 원화예금 | 1 |
| 2 | 달러예금 | 5 |
| 3 | 미국 국채 | 10 |
| 4 | KRX 금현물 | 11 |
| 5 | S&P 500 ETF | 35 |
| 6 | 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자 | 45 |
| 7 | 아마존 | 50 |
| 8 | SK 하이닉스 | 50 |
| 9 | 메타 | 55 |
| 10 | 엔비디아 | 65 |
| 11 | 테슬라 | 65 |
| 12 | 비트코인 | 75 |
| 13 | 비상장 코인 | 100 |
자산별 설명
저위험 자산
5천만원 이하 원화예금 : 사실상 5천만원 까지는 무조건 원금보장상품으로 국내 기준 가장 안정적인 자산
미국국채 :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세계 최저 리스크 자산 중 하나
달러예금 : 예금 자체는 안정적이지만, 환율 리스크가 존재
KRX 금현물 : 실물 자산이며, 위기 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지만, 단기적으로는 가격변동성이 있음
중위험 자산
S&P 500 ETF : 미국 상위 500개 기업에 분산투자으로 전반적으로 안정적
빅테크 및 국내 반도체 개별주
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자 : 비교적 안정적
아마존,메타,SK하이닉스 : 변동성 구간에서는 가격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있는 편
엔비디아, 테슬라 : 성장성은 탁월하지만, 급격한 상승을 한만큼 하락도 클 듯
고위험자산
비트코인(BTC) : 인플레이션 헷지, 디지털 금으로 주목받지만, 하루 수익률이 -10% 인 날도 종종 있을정도록 급등락이 있는편
비상장 코인 : 장기적으로 90% 이상 손해 볼수 밖에 없는 구조
글을 마치며
투자에서 수익률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리스크를 얼마로 보고 이를 관리하느냐 입니다. 위의 자산별 위험도는 저의 검색 및 독서에 의한 판단 일뿐 그냥 참조만 하시고, 자신의 판단에 따라 리스크를 측정해 본후 자신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짠다며, 훨씬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