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P란 개인형 퇴직연금으로 근로자뿐 아니라 자영업자 프리랜서도 가입할 수 있는 퇴직연금 계좌 입니다. 이 IRP 세액공제 는 연말정산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절세수단이자 노후대비 수단인데요.
IRP 는 단순히 은퇴 후 연금을 받는 계좌가 아니라, 매년 상당한 금액의 세금을 절세해 주기 때문에, 사실상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반드시 만들어야 하는 상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IRP 연금 개시연령 및 세액공제 구조, 그리고 실제 시뮬레이션을 알아보겠습니다.

IRP 기본정보
| 항목 | 설명 |
|---|---|
| 연금개시일 | 55세 이후 연금 개시 가능 |
| 계좌 최소 유지기간 | 가입후 최소 5년 유지 해야 연금소득세 (3.3~5.5%) 적용 |
| 납입한도 | 연간 납입 한도 1800만원 |
| 세액공제 한도 | 연간 900 만원 |
| 세액공제율 | 총급여 : 5500만원 이하 : 16.5% 총급여 : 5500만원 초과 : 13.2% |
IRP 절세효과 시뮬레이션 (납입액 1800만원 vs 900 만원)
| 연간 납입액 | 세액공제 한도 | 소득구간 | 세액공제율 | 절세 금액 |
|---|---|---|---|---|
| 1800 만원 | 900 만원 | 총급여 5500 이하 | 16.5% | 148.5만원 |
| 1800 만원 | 900 만원 | 총급여 5500 초과 | 13.2% | 118.8만원 |
| 900 만원 | 900 만원 | 총급여 5500 이하 | 16.5% | 148.5만원 |
| 900 만원 | 900 만원 | 총급여 5500 초과 | 13.2% | 118.8만원 |
IRP 가입시 주의사항
중도 해지 불이익
55세 이전 해지하면 그동안 받은 세액공제액을 모두 반환하고, 운용 수익에 대해 16.5% 가 과세 됩니다. 이해를 위해 간단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연봉 6000 근로자가 매년 900씩 10년을 IRP 에 납입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IRP 로 투자해서 약 1500만원이 수익이 발생했다고 가정해 보죠.
일단 세액공제액을 반환해야 합니다.
9000 만원 x 13.2% = 1188 만원 반환 해야 합니다.
추가로 운용수익에 과세가 됩니다.
1500 만원 x 16.5% = 247.5 만원 이 과세 됩니다.
55세 이전에 해지하면 1435.5 만원 거의 1500만원에 가까운 금액의 손실(?) 이 발생합니다.
관리 수수료
연평균 약 0.3~0.4% 계좌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연금소득세 조건
아래 세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낮은 세율래 세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낮은 세율 (3.3~5.5%)의 연금소득세가 적용됩니다.
연령요건 : 55세 이상
가입기간요건 : 최소 5년 이상
수령 한도 요건 : 연간 1500만원 이하 는 낮은 세율이 적용되고, 1500 초과액 은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결론 : IRP 세액공제 는 장기투자가 핵심
IRP 세액공제 는 큰 금액의 절세효과 와 55세 이후 노후대비를 할 수 있는 필수적인 수단 입니다. 다만 중도 인출시 막대한 부이익 있고, 수수료와 연금소득세 조건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IRP는 매년 세금 환급 및 안정적인 노후준비를 동시에 가져다 주는 최고의 절세 상품이라고 생각 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