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개인적인 의견일뿐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금은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가치가 올라가는 대표적인 자산인데요. 25년 9월 현재 국제 금가격은 온스당 3630$~3650$ 수준으로 , 사상 최고치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는데요. 동시에 달러 인덱스는 약 97~98 구간에서 소폭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금 가격 전망 을 전망하려면 크게 3가지 요인을 살펴봐야 합니다.
1.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2. 달러 인덱스의 흐름 (강세 vs 약세)
3.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여부

금 가격을 움직이는 핵심 요인
금리 인하와 금
금리와 금의 상관관계
금은 이자를 주지않는 자산이므로 실질금리가 낮아질수록 매력이 커집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면 금은 강세를 보이곤 합니다.
25년 9월 FOMC
현재 9월 18일에 예정되 있는 금리 발표는 인하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2025년 연내에 1~2회 인하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금리인하는 금값 상승의 요인이 됩니다.
달러약세 와 금
달러 인덱스 와 금의 관계
달러 인덱스는 달러를 유로, 엔, 파운드 등 6개의 주요 통화와 비교한 지표입니다. 달러가 강세인지 약세인지 볼때는 원달러 환율 보다는 달러인덱스를 보는게 정확한 편입니다. 100 미만은 약세 100 이상은 달러강세를 나타내는데, 25년 9월 현재 달러 인덱스는 97~98에서 움직이며, 약간 약세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금 가격을 지지하는 요인중 하나입니다.
한국투자자는 원달러 환율도 고려
달러 인덱스가 약세여도, 지금처럼 원화가 “더” 약세인 구간에서는 원달러 환율은 오히려 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원화로 금을 거래해야하는 한국투자자에게는 오히려 , 이는 금 수익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됩니다.
지정학적 리스크와 금 가격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의 불확실성
이스라엘 과 그 주변 중동 국가들간의 갈등
아시아 및 미국 지역의 정치적 불안정
이런 요인들이 안전자산 선호를 강화시켜 금 가격이 요 몇년 계속 우상향 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반대로 이런 불안요소들이 사라진다면, 금가격이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25년 4분기 현재 금가격은 1.금리인하 가능성, 2.달러 인덱스의 약세, 3. 지정학적 리스크의 지속 이라는 세가지 요인이 모두 금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런이유로 금이 현재 사상 최고치 부근에 있지만, 당분간은 여전히 상승 모멘텀을 유지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경기침체 및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달러 와 금리가 언제든 방향을 바꿀 수 있기때문에, 분할매수 및 목표비중 유지 (10%) 를 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본 글은 개인적인 의견일뿐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