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계좌 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로 운용하며, 절세를 할 수 있는 통합 자산 계좌입니다. 특히 중개형 ISA는 주식 ETF 직접 매매 까지 허용되기 때문에, 많은 분들께서 이미 사용중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ISA 계좌의 납입한도, 절세 혜택 장점 및 주의점을 알아보겠습니다.

ISA 계좌 란?
ISA 는 하나의 계좌에서 예금 , 펀드, ETF ,주식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운용할 수 있으며, 발생한 수익에 대해 일정부분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일정한도 까지는 비과세 , 한도를 넘어서면 저율의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자격 : 만 19세 이상 누구나
1인 1계좌 원칙
최소 유지 기간 : 3년 이상 보유 시 세제 혜택 적용
ISA 납입 한도
연간 한도 : 2000만 원
총 납입 한도 : 최대 1억 원 (5년 기준)
이월 가능 : 해당 연도에 납입하지 못한 금액은 다음 해로 이월 가능
ISA 절세 혜택
비과세 혜택
일반형 : 200만원 까지 비과세
서민 농어민형 : 400만원 비과세
분리과세
비과세 한도를 초과한 수익은 9.9% 분리과세
일반 금융 소득세 (15.4%) 보다 세 부담이 낮음
ISA 만들어야 하는 이유
세제혜택
금융소득세 (15.4%) 보다 낮은 9.9% 과세 적용
일정 한도 내 비과세 혜택
중개형 ISA 높은 자유도
국내 상장 주식 ETF 등 직접 매매 가능
일반 증권계좌처럼 투자하면서 절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음
ISA 계좌 의 주의점
의무 유지 기간
최소 3년은 유지해야 세제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단기 투자를 하시려면, ISA 계좌를 굳이 만들 필요가 없지요.
상품에 제약이 있습니다.
신탁형 및 일임형의 경우 상품선택이 제한적이며, 예적금이나, 간접투자 위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미국주식 직접투자 불가
ISA 계좌(중개형) 는 국내상장주식 만 가능 하기 때문에 해외주식의 직접 매매가 불가합니다. 다만, 국내에서 상장된 해외 ETF (TIGER S&P500 ETF ) 등은 투자가 가능합니다.
아래는 ISA 계좌로 미국 S&P 500 ETF (국내상장) 에 투자하는 방법 입니다.
글을 마치며
ISA 계좌는 절세에 특화되어 있는 계좌로, 특히 중개형 ISA 를 이용하면, 증권계좌처럼 주식과 ETF 를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하고, 여기에서 얻은 수익은 절세가 가능하니, 투자자라면 “반드시” 만들어야 하는 계좌 라고 생각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