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를 포함한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 계좌 S&P500 ETF 를 장기투자로 어떻게 하실지 고민하시는데요. S&P 500 EFT 는 오랜기간동안 우상향한 자산이라는게 입증 되기도 했고, 가장 대표적인 글로벌 분산투자 방법으로 인증받은 자산이라서 그렇기도 한데요.
그런데, S&P500 ETF 방법도 두가지라는 점 알고 계신가요? 바로 해외직접투자 ETF 와 국내 상장 해외 ETF 인데요. 오늘은 아이명의계좌로 투자시 어떤것이 나을지 비교해 보겠습니다.

해외 직접투자 ETF VS 국내 상장 해외 ETF
두 상품의 가장 큰 차이는 해외 직접투자는 미국증시에 상장된 상품이고, 국내 상장 해외 ETF 는 한국증시에 상장 된 상품이라서, 둘의 세금구조가 완전히 다르다는데, 있는데요. 두 상품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클릭 하시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금 구조가 완전히 다르다.
해외직접투자 S&P500 ETF
해외 직접투자 ETF 는 앞서 말씀드린데로, 미국증시에 상장되어 있고, 시세차익 (내가 얻은 이익) 에 대해 1년에 250만원 까지는 세금을 과세안하고 (공제하고) 나머지 차액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22% 과세합니다.
또 시세차익 말고, 배당금이 있는데, 배당금은 한국에서 과세하는게 아닌, 미국에서 배당금을 줄때, 15%의 세금을 때고, 배당금을 주는데, 15% 땐 금액이 2000만원 초과시 종합과세 신고해야 합니다. (하지만, 배당금이 2000만원이 넘으려면 10억 넘게 투자 해야 되기때문에, 보통의 경우 배당금은 크게 신경쓰시지 않아도 됩니다.)
국내 상장 S&P500 ETF
먼저 국내상장 ETF 는 양도소득세가 없습니다. 다만 국내에 상장된 S&P500 ETF 는 시세차익 및 배당금이 모두 금융소득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15.4% 를 원천징수하고, 수익을 돌려 줍니다. 또한 이 수익이 2000만원을 초과하면, 종합과세 신고를 해야합니다.
실제사례
예를들어 10살 아이 계좌 S&P500 ETF 에 2000만원을 투자해서 10년뒤 5000만원이 되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시세차익은 약 :3000 만원
배당금은 : 약 350만원 입니다.
해외직접투자시 공제 250만을 빼고 나머지 금액에 22%의 양도소득세가 발생하여, 605만원이 발생합니다. 배당금의 경우 미국에서 15% 원천징수되고, 나머지 금액 297만원 정도를 받습니다. 297만원은 2000만원 기준에 한참 못 믿치므로, 추가세금은 없습니다.
국내상장 S&P 500 ETF 라면 어떨까요? 시세차익과 배당금을 합쳐 3350 중에 2000만원 초과분 1350 만원이 일단 종합과세 대상입니다.
일단 원천 징수로 15.4%의 세금이 발생하여, 516만원 이 빠지는데요. 아이가 20살이 된시점 소득이 없다고 가정하고, 1350 만원에 대한 종합소득세를 내야 하는데, 이경우 원천징수금액 (516 만원) 이 더 큰 금액이라, 추가 세금은 없습니다. 다만 종합소득세 신고는 하기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
그래서 아이계좌 어떤 투자를 해야할까?
정리하면 투자금이 크지않아 금융소득이 연 2000만원 이하 거나 2000만원을 어느정 넘기는 대부분의 경우라면 국내상장 ETF 를 선택하는것이 올바른 선택입니다.
아이의 경우 대부분 수익실현 하는경우에도 근로소득이 없다면 국내상장 ETF 가 더 유리하며, 다만 고소득 직장인일 경우에는 자신의 소득에 + 금융소득이 합해져, 세율구간이 변해 자칫하면 종합과세 폭탄을 맞을 수 있으므로 주의 하셔야 합니다.
글을 마치며
정리해보자면, 아이 계좌 S&P 500 ETF 를 투자한다면 아이의 근로소득이 없기때문에 거의 대분 국내상장 S&P500 ETF 가 유리 합니다. 지금까지는 세금 위주로 S&P500 ETF를 알아보았지만, 세금보다 중요한건 역시 장기투자의 힘 입니다.
세금은 어디까지나 오랜 장기투자로 이익이 나왔을 경우에나 생각할 수 있는 문제 이기때문이죠.
물론 누구나 장기투자가 옳다는건 알고 있습니다. 다만 실행이 어려울 뿐이죠. 그래도 투자의 끝을 생각하며, 수익과 세금까지 미리 알아두면, 성공적인 투자가 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is safe with us.